물의 효능 및 단점

건강 정보

물의 효능 및 단점

세계보건기구에서 물섭취량을 하루에 2L까지 먹어야 한다고 권고사항이 발표된적이 있어요. 게다가 세상에서 몸에 좋은 음식 1위로 물이 꼽혔습니다. 이러한 물의 효능에도 불구하고 과다섭취하면 몸에 안좋은 영향을 끼친다고 하는데 바로 그 원인은??



 


물의 효능은 어떤게 있을까??

 

1. 채액 균형 - 우리 몸의 50-60%는 물이 차지 하고 있습니다. 물을 많이 마셔 주면 몸의 채액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어서 신체 균형에 도움이 되는 겁니다.

 

2. 장기능 - 물을 많이 마시면 위장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 주어서 좋습니다. 또한 장에 수분이 모자라게 되면 변비가 올 수 있습니다. 그럼 배변활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장 기능이 떨어지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많이 마시면 좋은겁니다.

 

3. 피로회복 - 체내에 수분이 떨어지면 벌써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되지 않아, 기능이 떨어지며 피로가 몰려옵니다. 충분히 자고 휴식을 취함에도 불구하고 피로가 잘 회복되지 않는다면 물을 많이 드셔 주세요. 더불어 운동까지 하면 효과 만점입니다.

 

4. 혈액순환 - 물을 충분히 마셔주게 되면 혈액순환이 잘 되게 됩니다. 혈액순환이 만약 잘 안되게 되면 심장병, 고혈압, 동맥경화 같은 질환이 생길 수가 있는데요. 혈액순환이 잘 안되시면 물을 자주 드셔주시고 평소에 걷기, 계단운동을 자주 해주세요.

 

5. 노폐물 제거 - 몸에 물이 부족하게 되면 쌓인 노폐물들을 제거 하실 수가 없게 됩니다. 그럼 몸에 염증을 유발하게 되고 몸에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게 되는 거랍니다. 그래서 많이 마셔주게 되면 신진대사까지 활발하게 해주어 노폐물과  독소를 제거 할 수가 있습니다.



 

참고로


생수란, "생수"란 법적인 용어는 아니지만 먹는 샘물, 먹는 염지하수 및 먹는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통상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생수의 종류, "먹는 샘물"란 암반대수층 안의 지하수 또는 용천수 등 수질의 안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연 상태의 깨끗한 물을 먹는 용도로 사용할 원수인 샘물을 먹기에 적합하도록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한 물을 말합니다.



"먹는염지하수"란, 염지하수를 먹기에 적합하도록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한 물을 말합니다.

 

※ "염지하수"란.. 물속에 녹아있는 염분 등 총용존고형물의 함량이 2,000㎎/L이상인 암반대수층 안의 지하수로서 수질의 안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연 상태의 물을 먹는 용도로 사용할 원수를 말합니다.

 

"먹는해양심층수"란, 해양심층수를 사람이 일상적으로 먹을 수 있도록 적합하게 제조 또는 가공한 물로서 법에 따른 수질 기준에 적합한 것을 말합니다.

 


물의 단점은 어떤게 있을까?

 

1. 위장장애 - 물을 많이 마시면 좋은 점에 위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해준다고 합니다. 그말은 맞지만, 식사를 하자마자 물을 마시면 소화액이 희석되서 소화가 잘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너무 한꺼번에 많은 양을 먹게 되면 위장장애가 될 수 있어요. 그러니까 한번에 물을 많이 먹지 마시고, 조금씩 나눠서 드시면 좋습니다.

 

2. 간 기능이 떨어졌을시 - 간기능이 떨어지면 혈액속의 알부민 농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그러면 혈액속에 수분이 많이 지게 되고 그 수분이 복강으로 들어가서 배에 복수가 차게 되죠. 왜 배에 물이 찬다고 합니까.



3. 신장이 안좋을때 - 만성 신부전증과 콩팥 신장의 기능이 떨어진 상태에서 물을 많이 마시면 안좋은데요. 콩팥이 안좋은데 과하게 마시면 독이 된다고 합니다. 평소에는 상관이 없는데, 기능이 많이 떨어진 환자는 많이 드시지는 마세요.

 

4. 감산성 기능 저하증 - 물을 많이 마시면 그만큼 몸에 수분도 빠져 나가게 되서 저나트륨혈증이 생깁니다. 그렇게 되면 전해질과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게 되고 두통, 신경불안, 발작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5. 심부전 환자 - 심장의 기능이 떨어져 있는 심부전 환자에게 과한 수분섭취는 좋지 않습니다. 이유는 수분을 많이 섭취하면 혈액량이 늘어나게 되면서 혈관에 혈압이 높아지게 됩니다. 혈압이 높아지면 수분이 혈압이 낮은 뇌, 폐로 갈수가 있어서 부종을 일으키게 된다고 합니다.